본문 바로가기
EAT PRAY LOVE_해외

후쿠오카에서 한국으로 엽서 보내기(일본 우체국, 우표 구매)

by ddawoori 2025. 2. 2.
반응형

2024.06.15 - [EAT PRAY LOVE_해외] - 후쿠오카 여행계획표 다시 채우기

 

후쿠오카 여행계획표 다시 채우기

오랜만에 갔던 치앙마이 해외여행의 너무 좋았던 기억이 있어, 부유한 삶은 아니지만 해외여행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절대 느낄 수 없는 일상과의 단절, 그

ddawoori.tistory.com

 
 
후쿠오카를 다녀온 지 너무 오랜 시간이 지나 기억이 흐릿해져가고 있지만, 오랜만에 치앙마이 여행 포스팅을 읽은 아내가 '오랜만에 읽으니까 재밌네, 기억도 새록새록 올라오고 후쿠오카도 쓰지 그랬어'라는 호의적인 멘트에 줏대 없이 또다시 블로그질을 시작해 본다. (시작은 하였으나, 끝은 장담할 수 없다.) 최초에 후쿠오카 여행 후기 블로그질 계획은 굉장히 디테일하게 준비 단계에서부터 각각의 아이템을 별개의 포스팅으로 작성한 뒤 일차별 포스팅으로 다시 엮고, 그리고 카테고리별(음식, 쇼핑리스트, 아이와 함께 하기 좋은 곳 등)로 추천하는 포스팅을 재 작성하려고 했다. 역시 계획이 원대하면 실현가능성은 점점 떨어지는 법이라더니... 현시점에 그렇게 다시 작성하기에는 장기적인 알코올복용으로 기억력감퇴를 동반한 나의 뇌가 감당하기는 어려울 것 같고, 치앙마이의 경우처럼 되는 것부터 작성하기로 했다. 
 
 여행을 조금 더 특별하고 기억에 남기기 위해 나와 내 가족만의 방법이 있다면, 그건 단언컨대 엽서를 써서 한국 또는 집으로  보내는 행위이다. 놀고 먹을 시간에 엽서 쓰고, 우표 찾아서 사고, 언제 우편을 부치느냐고 말할 수도 있다. 그 시간에 더 알찬 행위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집으로 돌아온 뒤 여행의 여운을 조금 더 오래 느끼고, 그때의 감정을 먼 훗날에 다시 꺼내보기 가장 좋은 행위는 엽서 속에 글을 남겨 보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거기에다 현지의 우체국 도장까지 더 해지면, 거기 갔다 온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증받는 느낌이랄까.

다양한 형태의 우체통이 존재한다.

 

https://maps.app.goo.gl/gUPX98SL6H8KQyu4A

 

하카타역 mail post

 

www.google.co.kr

 

태국 치앙마이 대비해서 일본 후쿠오카의 엽서 쓰기는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다. 그러니까 접근하기 굉장히 용이하다는 뜻으로, 초심자가 도전해 보기 좋다. 그중 가장 큰 이유는 우표를 편의점 (나의 경우 세븐일레브)에서 판매한다는 것도, 100엔짜리 우표 한 장이면 한국까지 오는데 문제가 없다는 점이다. 오히려, 개인적으로는 이쁜 엽서를 발견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의아할 수도 있겠으나, 만화강국이자 아기자기의 대명사인 일본이 오히려 태국 치앙마이보다 개인적인 취향을 충족하는 엽서를 발견하기가 매우 힘들었다. 그렇다고 안 쓴 건 아니나, 여분의 엽서가 많이 남은 치앙마이에 비해, 후쿠오카는 그러지 못했고, 구매한 엽서 더 해 유후인 료칸에 무료로 제공받은 전통스러운 편지지와 봉투까지 사용하여 한국으로 엽서(편지)를 보냈다.

 

우표를 구매하는 일이 번거롭지 않아 좋았다.


위에서 언급했듯 우표는 가까운 편의점에서 구매가 가능하고, 엽서의 무게에 따라 다르겠으나, 일반적인 엽서는 100엔짜리 우표 한장이면 한국으로 송달하는데 문제가 없다. 우표는 한 번에 10장을 구매하여, 치앙마이처럼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며 추가 구매를 하지도 않았다.

 

아이가 정성스럽게 쓴 엽서가 이번에도 잘왔다. 어른이 된 아이가 이글을 다시 읽으면 어떤 기분일까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우체통은 후쿠오카 하카타역과 유후인역 그리고 길가는 곳곳마다 사진과 같은 우체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치앙마이처럼 불안함에 우체국을 들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 엽서를 쓰는데 치앙마이대비 에너지 소모가 덜 했다.
 
이번에도 여행 1주일 뒤에 도착한 엽서들을 자기 전에 아내, 아이와 함께 읽으며 열심히 일상을 살고 또 좋은 곳으로 함께 여행을 가자고 속삭였던 따뜻한 침대 속 온기가, 글을 쓰는 지금도 전해진다. 

반응형